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42.250.10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라이트 모드로 전환
로그인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2021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
(편집 요청)
토론
ACL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역대 홍콩의 선거)] == 개요 == 홍콩의 2021년 총선이다. == 상세 == 민주파가 홍콩 국가보안법이 통과되면서 대거 사퇴해버리고 본토파는 체포되거나 망명가서 대부분 친중파들이 선거에 나섰다. 그나마 남아있는 비건제파인 [[제3당]]이 반중파로 참여를 하였다. == 선거 결과 == 직선구(직선제), 직능구•선거위원회 선출(간선제) 총 90석이 선출되었다.--왜 20석을 더 늘렸는지 대충 알 거 같다-- 민주파의 최후의 발악을 보고 싶으면 [[2021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비건제파의 최후의 발악]] 문서를 참고하자. == 왜 민주파는 입성하지 못했나? == 전술했듯이 민주파는 대부분 다 국가보안법이 통과되어 사퇴표를 던졌지만 일부 민주파는 지푸라기라도 잡듯이 예비선거를 하였다. 그러나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예비선거로 나온 민주파 후보들을 죄다 의원직 박탈시키고 이들은 결국 입법회에 앉지도 못하였다. 예비선거에 참여한 후보들은 대부분 체포되거나 망명갔다. 민주파 정당들도 입법회에 당선되지도 못한채 [[현재진행형|해산되고 있다.]] == 향후 전망 == 2025년에 총선이 열리지만 최근에 당선된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이 선거를 미룰 수도 있다. 혹은 그 사이에 [[홍콩 민주화 운동]]이 다시 일어나면 변수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 마저도 대부분 영국이나 캐나다로 이민가서 가능성이 낮다.] == 여담 == * 옆 동네 [[마카오]]도 입법회 선거가 막장이지만 홍콩보다는 나은 상황이다. 중도파랑 민주파가 각각 1석, 2석이 당선되어 버티고 있는 상황.
im preview
요약
문서에 기여한 것을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
으로 배포하고,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2.250.10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42.250.10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사이드바 설정
기본
숨김
하단 표시
사용자 사이드바 끄기
사용